화학과 바이얼린 음색

by 김창현 posted Sep 26,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화학과 바이얼린 음색


스트라디바리우스는 바이얼리니스트라면 누구나 꿈꾸는 명기(名器)다. 스트라디바리우스는 18세기 이탈리아의 바이얼린 매스터 안토니오 스트라디바리(1644~1737)와 그의 일가가 만든 바이얼린을 뜻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600~700여대가 남아 있다고 하는데, 보존상태가 좋은 스트라디바리우스는 몇십억원이 넘는 고가에 팔린다.

그런데 이 같은 명품 바이얼린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 왜 현대의 첨단기술로 만든 바이얼린이 300년 전에 만들어진 수제(手製) 바이얼린의 음색을 따라가지 못하는 것일까. 이 문제는 악기 제조업자들은 물론이고 과학자들도 끊임없이 도전해 온 의문이다.

사실 스트라디바리우스의 신비에 대한 과학적 연구 결과들도 적지 않게 나왔다. 예를 들면 미국 테네시 대학의 과학자들은 스트라디바리우스가 제작된 당시의 기후가 이 명기를 탄생시킨 열쇠라고 주장했다.

유난히 추웠던 18세기 당시의 날씨 때문에 악기 제작에 쓰인 나무의 나이테가 촘촘했고, 나뭇결의 밀도 역시 높아졌다는 것. 이 덕분에 소리의 스펙트럼이 균일하고 음정 변화가 거의 없는 명기가 제작됐다는 것.

텍사스 A&M 대학교의 생화학자 조셉 네지바리 교수의 주장도 흥미진진하다. 스트라디바리와 그의 제자들은 북이탈리아의 숲속에 널리 서식하는 벌레로부터 바이얼린을 보호하기 위해 일종의 화학물질인 도료를 발랐다는 것.

네지바리 교수는 이때 사용된 도료가 잡음을 제거하는 효과를 주어 스트라디바리우스 특유의 음색을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화학계는 네지바리 교수의 연구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반면 악기 제조업자들은 이를 별로 믿지 않는 눈치다.

즉 스트라디바리우스만이 낼 수 있는 천상의 음색은 한두 가지 이유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수십, 수백 가지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것.

악기 제조업자들은 네이처지에 발표된 네지바리 교수의 연구 결과에 대해 "이 정도로 스트라디바리우스의 모든 비밀이 밝혀졌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스트라디바리는 진정한 천재였다. 과학이 어떤 질문에 대해서는 답을 줄 수도 있지만 과학과 예술이 항상 같은 결론을 낼 수 있는 것은 아니다"고 잘라 말했다.

또한 네지바리 교수가 과학자인 동시에 직접 바이얼린 제작사를 운영하고 있다는 사실도 그의 연구에 대해 '무언가 사업적 동기가 있을 것'이라는 의혹을 불러일으켰다.

실제 네지바리 교수는 자신의 회사에서 제작한 바이얼린이 스트라디바리우스에 버금가는 음색을 낸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지난 2003년 독일의 한 다큐멘터리 제작사가 600명의 청중을 대상으로 일종의 블라인드 테스트를 실시했다고 한다.

스트라디바리우스와 네지바리의 회사에서 제작한 2대의 바이얼린으로 실시한 이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 600명의 청중 가운데 오직 57명만이 스트라디바리우스를 제대로 맞추었다는 것. 이 정도면 두 악기의 성능이 대동소이하다는 게 네지바리 교수의 주장이다.

그는 한 인터뷰에서 "스트라디바리는 70~80대에 그의 최고 작품을 만들어냈다. 나는 이제 겨우 69세에 불과하다"면서 화학연구를 통해 바이얼린의 음색을 개선하는 일에 정진하겠다는 뜻 을 밝혔다. 아무튼 화학연구를 통해 음악의 재창조에 기여할 수 있다면 그 역시 과학자로서는 보람된 연구가 아닐까 생각된다. 실제 화학은 다양한 방식으로 음악과 악기 연주에 기여하는 과학이다. 특히 러시아 민족주의 작곡가 5인조 가운데 한 사람이었던 보로딘은 원래 화학자였고, 일요일에 시간 날 때마다 작곡을 했었다고 한다. 화학은 그 어떤 과학보다 음악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지도 모르겠다. (한국일보)




바이올리니스트 정경화 - 크라이슬러 '사랑의 슬픔'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